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저축] 우대금리 체크리스트 & 갈아타기 실전 가이드(앱 캡처 템플릿까지)

by 소채가게아저씨 2025. 9. 8.

목표: “광고 금리 〇%”가 진짜 내 금리가 되게 만들고, 필요할 땐 손해 없이 갈아타는 것.
도구: 은행앱(2~3곳), 파킹통장 1, 정기예금 라더(6·12·24M), 캘린더/노션·시트


1) 우대금리 체크리스트(한 장 끝)

아래 항목을 3개 이상 채우면 ‘최고금리’에 근접합니다. (은행별 구성은 다르지만 논리는 동일)

A. 거래 실적

  • 급여/연금 이체 1건 이상(월 50만~100만 이상 인정 기준 확인)
  • 자동이체 2~3건(통신/공과금/적금)
  • 카드 이용액(신용/체크 합산, 월 30만~50만 구간)
  • 외화·펀드·보험 소액 가입(일부 은행 가산)

B. 앱·신규·잔액 조건

  • 신규·첫거래/재예치 고객(기간 한정 우대)
  • 모바일 전용 가입(영업점 X)
  • 평잔/신규자금 인정(타행에서 가져온 돈만 인정하는 경우 多)

C. 상품 자체 규정

  • 예치금 구간별 금리(예: 500만↑, 5천만↑ 차등)
  • 기간·만기 방식(단리/월복리, 자동재예치 시 우대 유지 여부)
  • 중도해지 금리표(기간별 단리율 확인 필수)

핵심 규칙 3: ① 우대항목 수보다 달성 난이도가 낮은 걸 고르기 ② 월별 리셋되는 항목은 자동화 ③ 우대금리의 유효기간(예: 6개월 한정)을 꼭 확인


2) “진짜 내 금리” 계산법(광고 문구 함정 피하기)

  • 표면(광고) 금리 = 기본금리 + 우대금리 합계(최대)
  • 내 적용 금리 = 기본금리 + 내가 실제 달성 가능한 우대만 합산

예시

  • 기본 3.40% + 우대① 급여 0.30% + 우대② 자동이체 0.20% + 우대③ 카드 0.30% + 우대④ 앱미션 0.10% = 최대 4.30%
  • 내가 가능한 건 급여+앱미션뿐 → 3.40 + 0.30 + 0.10 = 3.80%
  • 세후 예상: 원금 1,000만, 12M → 10,000,000×0.038=380,000(세전) → 세후 380,000×0.846=321,480원

TIP: 계산이 귀찮으면 “세후는 세전×0.846”만 기억!


3) 앱 캡처 가이드(8컷 템플릿) — 갈아타기 전에 꼭 저장

  1. 상품 개요 화면: 상품명/기간/최대금리/가입 한도
  2. 금리 상세: 기본금리 vs 우대항목별 가산금리
  3. 우대 조건 설명: (예: 급여이체 인정 기준·기간)
  4. 예치금 구간별 금리: 500만·5천만·1억 구간 차이
  5. 중도해지 금리표: 기간별 단리율(예: 1M 미만 0.1%, 3~6M 0.3%…)
  6. 세전/세후 이자 시뮬레이터: 앱 제공 시 결과 캡처
  7. 예금자보호 문구: 1인당 5천만(원금+이자) 적용 확인
  8. 우대 유지/소멸 규정: 자동재예치 시 우대 승계 여부

앨범에 폴더 **[예금_YYYYMMDD_은행명]**로 묶고, 노션/시트에 링크+금리 수치를 붙여두면 비교가 매우 쉬워집니다.


4) 갈아타기 의사결정: 손익분기 공식 & 사례

4-1. 한 줄 공식(세전 기준)

갈아타기 유리 조건
∗∗Δ금리∗∗×∗∗남은기간(연)∗∗**Δ금리** × **남은기간(연)** > (∗∗기존금리−중도해지금리∗∗)×∗∗경과기간(연)∗∗(**기존금리 − 중도해지금리**) × **경과기간(연)**

  • Δ금리 = 새 금리 − 기존 금리
  • 중도해지금리 = 해지 시 적용되는 낮은 단리율(상품 공시표 확인)

4-2. 숫자로 보는 예

  • 기존: 3.8%/12M, 4개월 경과
  • 새 상품: 4.4%/잔여 8개월
  • 중도해지금리(가정): 0.5%

좌변(이득): Δ0.6% × (8/12) = 0.4%p
우변(손해): (3.8 − 0.5= 3.3%) × (4/12) = 1.1%p
0.4 < 1.1 ⇒ 갈아타기 손해 (남은 기간이 길어도, 초반 이자 ‘손실’이 커서 역전 어려움)

언제 유리해지나?

  • Δ금리가 훨씬 클 때(예: +1.5%p 이상) 또는 경과기간이 매우 짧을 때(초기 1~4주)
  • 초기 30일 이내엔 중도해지금리가 그래도 덜 아픈 편이라 특판 급상승 때만 검토

실전 팁: 계산은 세전으로 판별해도 충분(세후 계수 0.846은 양변에 공통으로 곱해져 결론 동일).


5) 갈아타기 체크리스트(체크 후 실행)

  • 중도해지금리표 확인(기간별로 다름)
  • 잔여기간·경과기간 월수 계산(일수×/12)
  • Δ금리0.8~1.0%p 이상인가? (경과 3~4M 기준 체감 임계)
  • 예치금 구간 올리면 금리 추가상승 있는가?(5천만↑ 등)
  • 예금자보호 5천만 초과 위험 없는가? (은행 분산)
  • 자동이체/급여실적 세팅에 충돌 없는가?
  • 신규 계좌 오픈→바로 가입 가능인지(대기·본인확인 제한 확인)

6) 월 2회 스캔 루틴(복붙용 캘린더 문구)

  • 매월 1일 09:00 — “정기예금 특판 스캔(6·12·24M)”
  • 매월 15일 09:00 — “보유예금 ‘내 금리’ 점검(우대 유지 체크)”
  • 매월 말일 09:00 — “파킹 잔액/라더 비율 재조정”
  • 만기 7일 전 — “재예치 은행·기간 결정(우대 조건 메모)”
  • 만기 당일 — “자동재예치 확인 / 수동 재예치 실행”

7) 우대금리 자동화 세팅 예시(앱에서 10분 컷)

  1. 급여이체 은행 고정 → 해당 은행 정기예금 위주로 모으기
  2. 자동이체 3건: 통신/공과금/적금(만기 짧은 자유적금 1개 깔아 우대 채우기)
  3. 카드 실적: 체크카드 교통·편의점 자동충전 연결(월 3~5만 소액도 인정되는 상품 多)
  4. 앱 미션: 월 1회 미션형(출석/적립) 알림 켜기
  5. 신규자금 우대: 타행 파킹→해당 은행 파킹으로 월말 이동 후 다음 달 예금 가입

8) 노션/시트 템플릿(열 구조 & 샘플)

은행상품기간기본우대합내 우대내 금리예치액세후이자(예상)중도해지율만기메모
OO은행 XXXe-정기예금 12M 3.40 0.90 0.40 3.80 10,000,000 321,480 0.1~0.5 2026-01-15 급여+앱미션만

세후칸 수식: =예치액 * 내금리/100 * 기간/12 * 0.846
(구글시트/엑셀 공통)


9) 안전·리스크 메모(꼭 확인)

  • 예금자보호 5천만(원금+이자) → 동일 은행 내 합산. 여러 은행으로 분산
  • 중도해지 금리상품·기간별 다르고 매우 낮음(0.1~0.5% 단리 일반적)
  • 우대는 월별 리셋: 한 달만 놓쳐도 최종 금리 확↓
  • 장기 라더일수록 만기 분산 필수(6·12·24M를 서로 다른 날짜에 시작)

10) Q&A

Q. 금리가 살짝만 올랐는데 갈아타도 되나요?
A. 보통 +0.3~0.5%p로는 손익분기를 넘기 어렵습니다. 위 공식에 경과기간/중도해지율을 넣어 계산 후 결정하세요.

Q. 우대 달성에 카드 실적이 부담됩니다.
A. 교통/편의점/구독 소액으로 자동충전을 얹으면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실적을 채울 수 있습니다.

Q. 자동재예치로 두면 우대 유지되나요?
A. 은행마다 다릅니다. “우대 승계/재인증 필요” 문구를 반드시 확인하고, 만기 7일 전에 점검하세요.


11) 오늘의 액션(5분)

  1. 보유 예금 1개 골라 중도해지 금리표 캡처
  2. 경과/잔여 기간 메모 → 갈아타기 공식에 대입
  3. 노션/시트에 내 금리세후이자 입력 → 만기 알림 켜기

마무리

이제 “최고 〇%”는 광고 문구가 아니라 당신의 실금리가 됩니다.
우대 체크리스트 → 앱 8컷 캡처 → 갈아타기 공식만 기억하세요.
라더(6·12·24M)를 굴리며 월 2회 스캔 루틴을 돌리면, 1년 뒤 유동성·세후 수익·편의가 모두 올라가 있는 걸 확인하게 될 겁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