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자동차 겨울 점검 12가지: 배터리·부동액·타이어 완벽 체크 (2025)

by 소채가게아저씨 2025. 9. 13.

3줄 요약
배터리는 추위에 약해요. 0 ℃에 시동 성능 –35%, 0 ℉(–18 ℃)에 **–60%**까지 떨어질 수 있어 3–5년차는 선제 교체·점검 권장.
부동액 50:50(에틸렌글리콜:물)은 **–37 ℃**까지 동결 보호. 리저버 수위·누수·혼합비를 확인하세요.
타이어: 법적 마모 한계 1.6 mm(권장 3 mm↑), 기온 10 ℃↓마다 공기압 1–2 psi↓ → 월 1회 냉간 체크.

 

✅ 1) 배터리(12V) · 발전기

  • 체크: 휴차 3 시간↑ 후 무부하 전압이 12.5–12.7 V(정상), 12.2 V 부근이면 방전·노후 의심. 시동 시 크랭킹 전압 저하·겨울 한파 전후 시동 지연이면 교체 고려. (차종·배터리 타입별 허용 범위는 상이)
  • 추위 영향: 0 ℃ –35%, –18 ℃ –60% 성능 저하. 3–5년차는 예방 교체가 안전.
  • EV도 해당: 전기차도 보조(12V) 배터리 방전 시 시동 불가 → 점검 필수.

✅ 2) 냉각수/부동액(엔진 쿨런트)

  • 혼합비: EGW 50:50(에틸렌글리콜:탈이온수) 기준 동결점 ≈ –37 ℃. 저온 지역 아니면 가장 무난.
  • 체크: 리저버 LOW–FULL 사이, 누수 흔적(하부 얼룩), 라디에이터/호스 팽창·경화 여부. 색만 보고 혼합 금지(규격 다름).
  • : 최근 아시아차는 ‘피-혼(Phosphated OAT)’ 등 규격이 다르니 차량 설명서 규격 우선.

✅ 3) 엔진오일

  • 점도/주기: 제조사 권장 **저온 점도(예: 0W/5W)**로, 교환주기(거리·기간) 준수. 겨울 단거리·빈번 시동이 많으면 조기 교환이 유리.

✅ 4) 타이어 트레드(홈 깊이)

  • 법적 최소: 1.6 mm 미만 사용 금지. 겨울·빗길 안전을 위해 3 mm 부근에서 선제 교체 권장.
  • 체크법: 마모 한계선(TWI) 확인, 100원 동전(이순신 감투 보이면 교체 시그널) 팁 다수.

✅ 5) 타이어 공기압·TPMS

  • 온도 영향: 10 ℃ 하강 → 1–2 psi 감소. 추울수록 냉간 기준으로 도어 플래카드 수치에 맞춰 보충.
  • 주기: 월 1회·장거리 전 냉간 체크, 스페어 포함.

✅ 6) 겨울/사계절 타이어·체인

  • 눈길 대비: 윈터 타이어가 최선, 미설치 시 체인 휴대(분진형 스프레이 체인은 응급용).
  • 얼라인먼트: 편마모·쏠림 있으면 정렬 점검. 공단 정기검사 항목에도 포함.

✅ 7) 브레이크(패드·디스크·브레이크액)

  • 브레이크액 수분: 3% 이상이면 교환 권장(DOT3/4). 수분↑ 시 끓는점↓↓ → 베이퍼록 위험.
  • 패드/디스크: 잔량·편마모·소음 점검(눈·염화칼슘 접촉 후 하부 세척 권장).

✅ 8) 와이퍼·워셔액(동결 주의)

  • 블레이드: 6–12개월 주기 점검/교체. 눈 쌓인 상태로 작동 금지.
  • 워셔액: 겨울용·에탄올 함량/동결점 표기 제품 사용(물 혼합 금지).

✅ 9) 히터·제상/제무김(Defrost) & 캐빈필터

  • 테스트: 앞유리 김서림 제거 속도 확인(에어컨 ON·외기 모드가 빠름). 캐빈필터 막힘은 김서림↑·풍량↓ 원인.

✅ 10) 연료·디젤 왁싱(경유차)

  • 경유 겨울 규격: 국내는 계절별 유동점/필터막힘점 기준을 적용(혹한기 –23 ℃ 이하 등). 동절기용 경유 주유·탱크 1/2 이상 유지.

✅ 11) 고무몰딩·도어·유리

  • 문 얼림 방지: 도어 씰에 실리콘 루브리컨트 얇게, 고압세차 후 수분 제거. 성에/결빙엔 제설 스크래퍼·디아이서 사용.

✅ 12) 비상 키트

  • 구성: 점프 스타터·케이블, 토치/헤드램프, 담요·핫팩, 장갑, 체인, 삽, 모래/슈즈패드, 스노우 브러시·스크래퍼, 휴대용 공기펌프, 비상식·물.

빠른 표: 체크 기준 한눈에

항목합격선/교체선메모
12V 배터리 무부하 12.5–12.7 V(정상) / 3–5년차 주의 추위에 성능↓: 0 ℃ –35%, –18 ℃ –60%.
부동액 50:50 = –37 ℃ 보호 혼합 규격 준수.
타이어 홈 법적 1.6 mm(권장 3 mm↑) 눈·빗길 성능 위해 여유 교체.
공기압 10 ℃↓ → 1–2 psi↓ 냉간·월1회 체크.
브레이크액 수분 ≥3% 교체 DOT3/4 공통 권장.
워셔액 겨울용(동결점 표기) 물 혼합 금지.
경유차 동절기용 경유 혹한기 –23 ℃ 유동점 기준.

 

자가 점검 루틴(주차장 30분 컷)

  1. 타이어 4짝 냉간 공기압/트레드 → 스페어 포함(있다면).
  2. 워셔액/와이퍼 분사·패턴 확인 → 블레이드 균열·줄 체크.
  3. 배터리 전압 간이 측정(점프 스타터는 항상 충전).
  4. 히터·제상 작동/풍량·에어컨 ON 시 김서림 제거 확인.
  5. 부동액 리저버 수위·누수 흔적 확인 → 예정일에 혼합비 테스트(정비소 굴절계).

 

출처·근거

  • 배터리 추위 영향(0 ℃ –35%, –18 ℃ –60%): AAA 안내.
  • 부동액 50:50 = –36.8 ℃(≈ –37 ℃) 동결 보호: Engineering Toolbox(에틸렌글리콜 수용액 동결점 표).
  • 타이어 법적 마모 한계 1.6 mm: 미쉐린 코리아·정부 정책 안내.
  • 기온 10 ℃↓ → 공기압 1–2 psi↓: 콘티넨탈 타이어 공식.
  • 브레이크액 수분 3% 교체 권장: Kixx Tech & 정비자료.
  • 경유 동절기 품질기준/왁싱·유동점: 한국석유관리원·산업 기사.
  • EV 12V 보조배터리 주의: 교통안전공단 안내.